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INE88

랑그독 루시용(Languedoc Roussillon) 와인 이야기 랑그독 루시용 와인의 역사 랑그독 루시용의 포도재배 역사는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철 무역을 하던 그리스 선원들에 의해 그리스의 예술과 함께 포도나무가 전해졌고, 이후 와인을 즐겼던 로마인들 덕분에 프랑스 중남부에서 포도와 올리브 생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중세에는 와인 수출도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하지만 스페인과 붙어 있는 지리적 환경 탓에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 중 스페인 국경과 가장 가까운 바뉠스는 17세기 초반까지 스페인령이었고, 최종적으로 1642년 루이 13세 때 프랑스 영토로 편입되었다. 19세기 프랑스 전역의 포도밭을 황폐화시켰던 필록세라 병충해를 피해가지 못했고, 당시 포도를 재배하던 농가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포도나무를 뽑은 후 올리브나무를 심어 생계를 ..
프랑스 최고 와인 가이드(GMV, 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 프랑스 최고 와인 가이드 '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GMV, 프랑스 최고 와인 가이드) '는 프랑스의 대표 와인 매거진 'Revue du Vin de France (RVF)'에서 매년 발행하는 가이드로,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종종 'Guide Vert(초록 가이드)'로 불린다. 이 가이드는 주로 와인보다는 도멘(포도원)을 중심으로 소개하는데, 이는 와인애호가들 사이에서 최고의 와인을 논할 때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도멘들은 지역과 하위 지역별로 분류되며, 품질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된다. 즉, 3성급 도멘부터 시작하여 2성급, 1성급, 그리고 별이 없는 도멘 순으로 나열되며, 별이 없는 도멘도 여전히 훌륭한 평가를 받은 것이다. 이 별들은 오랜 기간 ..
RVF추천 알자스의 피노 누아 와인 15선 '프랑스 최고의 와인 가이드 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RVF)'에서 추천하는 2024년 알자스의 대표 피노 누아 와인을 소개한다. 피노 누아는 부르고뉴를 대표하는 품종으로, 알자스에서도 그 특별한 섬세함과 맛을 잘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실 과거에는 익지 않아 희석된 느낌을 주던 알자스의 피노 누아 와인이 이제는 기후 온난화 덕분에 잘 익게 되었다. 또한, 알자스의 다양한 테루아 덕분에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피노 누아는 알자스 지역 포도 재배의 약 10%를 차지한다. 수 많은 알자스 피노 누아 가운데, 제대로된 맛보고 싶다면 여기 2024년  RVF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와인들을 먼저 확인해보자.  Domaine Albert MannPinot noir ..
2024년 RVF선정 97점 이상의 알자스 화이트 와인 10선 RVF 와인 전문가들이 인정한 2024년 최고의 알자스 화이트 와인프랑스 와인 애호가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권위 있는 잡지, La Revue du vin de France. 까다로운 기준으로 프랑스 와인을 평가하고 소개하는 이 잡지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출시된 최고의 알자스 화이트 와인을 선정했다. 최고의 와인을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RVF는 2024년 프랑스 최고의 와인 가이드에서 최고 점수를 바탕으로 알자스산 화이트 와인 상위 10개를 정리했다.    Pinot Gris Grand Cru Sonnenglanz SGN 2018생산자 : Domaine Bott-Geyl2024년 RVF의 평가 점수 : 98/100 현지 가격 : 50 €  Alsace Grand Cru Schlossberg 20..
알자스 와인, 2024 세계 화이트 와인 대회 심사위원 대상 2024년 제26회 '세계 화이트 와인 대회(Mondial des vins blancs)'에서 알자스 지방의 한 와인이 '심사위원 대상(Grand Prix du jury)'을 수상했다.https://www.mondial-vins-blancs.com/ À vos échantillons de vins blancs et à vos verres de dégustation !Une reconnaissance sur les marchés nationaux et internationaux avec 30% maximum de médailles décernées, selon les normes de l’OIV. L’édition 2022 a proposé pour la première fois la distinction..
Banyuls l'Etoile - 바뉠스의 와이너리 바뉠스 레투알 Banyuls l'Etoile비뉠스 지역을 대표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이다. 1921년 설립되어 1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지니고 있다. 포도밭은 급경사면에 자리했으며, 포도 수확은 오직 손으로만 진행한다. 빈티지마다 다르지만 수확량 자체가 굉장히 적은 편이다. 오크 배럴에서 20년 이상 보관하는 와인들도 있다. 담-잔(Dame- Jeannes)이라 불리는 통통한 유리병에서 숙성시킨 바뉠스 두 파이유(Banyuls Doux Paille)는 와이너리에서 자랑하는 최고의 와인 중 하나다. 바닐스 쉬 메르(Banyuls-sur-mer) 마을에 시음실이 있다. 올드 빈티지의 와인까지 맛 볼 수 있으니 반드시 방문해 보기를 추천한다.    주소 26 Avenue du Puig del Mas, Bany..
Domaine Berta-Maillol - 바뉠스의 와이너리 도멘 베르타 마이욜 Domaine Berta-Maillol1611년 설립되어 400년 넘게 가족 경영으로 이어오고 있는 와이너리다. 현재는 장 루이 베르타 마이욜(Jean-Louis Berta-Maillol)와 그의 형제들이 운영한다. 많은 바뉠스 와이너리들이 그렇듯이 도멘 베르타 마이욜 또한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급경사의 언덕에 계단식으로 자리한 포도밭을 소유하고 있다. 포도나무는 오로지 인간의 손으로만 경작이 되고, 수확 또한 손으로만 진행한다. 와인숍 내에 테이스팅 룸이 있어 시음 후 와인 구입이 가능하다. 바뉠스 쉬 메르(Banyuls-sur-mer) 마을 한 가운데 자리한 현대적인 시음실에서 주옥같은 와인을 즐길 수 있다.    주소 Impasse Foment de la Sardana, Bany..
Domaine St Sébastien - 바뉠스의 와이너리 Domaine St Sébastien 도멘 생 세바스티엉바뉠스 쉬 메르의 해변에서 아름다운 지중해를 배경으로 바뉠스 와인을 테이스팅 할 수 있는 곳이다. 르 자르댕 드 생 세바스티엥(Le Jardin de St Sebastien)이라는 레스토랑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급경사에 위치한 14ha에 이르는 포도밭에서 그르나슈, 카리냥을 주력으로 재배한다. 포도재배부터 수확까지 전부 손으로 하며, 친환경적으로 포도를 관리한다. 콜리우르와 바뉠스 AOC 아래 총 9종류의 와인을 생산한다. 바뉠스 마을 중심에 위치한 시음실에서 테이스팅을 요청할 수도 있다.    주소 10 Avenue Pierre Fabre. 66650, Banyuls-sur-Mer, France전화 04-68-88-30-14..
세계에서 가장 비싼 샴페인 9선 - 2023년 생일, 졸업, 승진, 결혼, 출산... 축하할 일이나 중요한 순간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샴페인을 터뜨리며 기쁨을 나눈다. 톡 쏘는 기포와 은은한 향, 그리고 풍부한 맛은 그 자체로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 준다. 하지만 샴페인 애호가라도 가끔씩 궁금해할 수 있다. 왜 좋은 샴페인은 그렇게 비싼 걸까?경매에서 천문학적인 가격에 낙찰되는 샴페인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는 매우 특별한 병이며, 때로는 100년 이상 된 샴페인이 우연히 완벽한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메종 Juglar의 1820년 빈티지 병은 바닷속에서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희소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된 특별한 에디션 샴페인이나, 금으로 덮힌 마그넘(대형)병 샴페인은 대부분 수집가들을 위..
프랑스 각 지방의 문화를 대표하는 술 프랑스는 와인의 나라로 유명하지만, 각 지방마다 고유한 술이 존재한다. 포도주의 명성이 높지만, 브르타뉴와 노르망디에서는 사과로 만든 시드르와 칼바도스를 즐기고, 알자스에서는 독특한 화이트 와인과 증류주를 만난다. 남부로 가면 리큐어와 허브향이 깊은 파스티스가 사랑받으며, 동남부에서는 쳇나, 샤르트뢰즈 같은 수도원에서 탄생한 술이 역사를 품고 있다. 바닷바람이 부는 서부, 포도밭이 끝없이 펼쳐진 보르도, 중세 감성이 가득한 부르고뉴까지—프랑스의 각 지방은 술 한 잔에 그들의 기후, 전통, 문화를 담아낸다.  보르도(Bordeaux)의 레드 와인보르도는 오랜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생산 지역이다. 무려 12만 헥타르에 이르는 포도원과 8,500여개의 와이너리(샤토, chateaux)를 자랑..
2024년 콜마르 알자스 와인 대회 수상 결과 2024년 콜마르 알자스 와인 대회 수상 결과제53회 '콜마르 알자스 와인 대회(Grand Concours des Vins d'Alsace de Colmar)'가 2024년 3월 27일에 열렸다. 이 대회는 '알자스 와인 협의회(Conseil Interprofessionnel des Vins d'Alsace)'가 '알자스 포도재배자 협회(Association des Viticulteurs d'Alsace)'와 협력하여 매년 개최하며, 알자스(AOC Alsace)와 크레망 달자스(AOC Crémant d'Alsace) 와인 중 최고의 와인을 선정해 금메달과 은메달을 수여한다. 독립 와이너리, 협동조합 와이너리, 그리고 와인 생산·유통업체들이 참가 대상이다.  올해 출품된 와인은 AOC 알자스의 경우 202..
꼭 맛봐야 할 알자스의 특별한 피노 누아 15가지 - 2024년 여기 2024년 프랑스 최고의 와인 가이드(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에서 추천하는 알자스 피노 누아의 정수를 소개한다. 피노 누아는 부르고뉴를 대표하는 품종으로, 알자스에서도 그 특별한 섬세함과 맛을 잘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실 과거에는 익지 않아 희석된 느낌을 주던 알자스의 피노 누아 와인이 이제는 기후 온난화 덕분에 잘 익게 되었다. 또한, 알자스의 다양한 테루아 덕분에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피노 누아는 알자스 지역 포도 재배의 약 10%를 차지한다. 수 많은 알자스 피노 누아 가운데, 제대로된 맛보고 싶다면 여기 2024년 프랑스 최고의 와인 가이드(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와인들을 먼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와인 TOP 50 - 2023년 기준 와인이 비싼 이유는 무엇일까?와인의 품질은 포도 품종, 재배 방식, 양조 및 숙성 기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생산자가 이러한 요인들을 세심하게 고려하여 좋은 품질의 와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수록 와인의 가격은 높아지게 된다. 특히 프랑스 와인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적 배경과 품질을 자랑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권위 있는 크뤼(Cru)들은 포도밭의 특성, 수확량의 제한, 양조 및 숙성 기술의 혁신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매우 희소한 와인을 만든다. 이 희소성이 높을수록 와인의 가격은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Domaine de la Romanée-Conti는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중 하나인데, 이 와인의 포도밭은 면적이 2헥타르 미만이고, 수확량은 2,700병에 불과하다. 따..
세계에서 가장 비싼 와인 30선 역사를 품은 한 병: 경매 시장을 뒤흔든 와인 30선세계 경매 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된 와인은 단순한 주류를 넘어 역사, 문화, 예술적 가치를 내포한 수집품으로 간주된다. 특히 19세기 및 20세기 초의 희귀 빈티지, 한정 생산된 부르고뉴의 그랑 크뤼 와인, 그리고 전설적인 와인메이커의 작품들은 수집가들의 열망과 자본이 집중되는 대상이다. 이들 와인은 전쟁, 정치적 사건, 기술적 전환과 같은 시대의 전환점을 반영하며, 그 한 병이 곧 과거 한 시기의 정수를 응축한 예술품으로 기능한다. 또한 경매 시장에서의 낙찰가는 와인의 희귀성과 품질뿐 아니라 생산자에 대한 신화, 라벨의 디자인, 병의 출처, 심지어 유명인의 소장 여부까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본 기사에서는 경매 역사상 가장 높은 가격에 낙찰된..
2023년 RVF선정 96점 이상의 알자스 화이트 와인 10선 세계적인 와인 전문가들이 인정한 알자스 화이트 와인의 진수프랑스 와인 애호가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권위 있는 잡지, La Revue du vin de France. 까다로운 기준으로 프랑스 와인을 평가하고 소개하는 이 잡지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알자스 화이트 와인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풍부한 미네랄과 과실 향이 어우러진 알자스 화이트 와인은 독특한 매력으로 전 세계 와인 애호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라인 강변의 석회암 토양에서 자란 포도로 만든 알자스 화이트 와인은 뛰어난 품질을 자랑하며, 그 중에서도 96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받은 와인들은 그야말로 알자스 와인의 정수를 보여준다. RVF가 2023년에 96점 이상의 점수를 부여한 알자스 화이트 와인 10선은 이러한 지역의 명..
알자스 와인잔의 유래 1세기부터 이어져 온 와인의 땅, 알자스1세기 로마인들에 의해 개발된 알자스의 포도밭은 역사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약 15,500헥타르의 면적을 가진 알자스는 프랑스 전국 와인 생산량의 2.5%를 차지한다. 스트라스부르와 뮐루즈 사이의 17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진 이 지역은 포도 재배에 특히 적합한 미기후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특히 보주 산맥이 비와 바람으로부터 보호해 주기 때문에 알자스 포도나무는 햇볕에 잘 노출되는 이점도 있다. 와인잔의 간략한 역사최초의 유리 와인잔은 13세기 이탈리아 무라노(Murano)에서 등장했다. 이전에는 납, 은 또는 도자기로 만들어졌던 유리 와인잔은 산업화와 함께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 후 프랑스의 여러 와인 산지에서는 샴페인 잔부터 부르고뉴 잔에 이..
알자스 그랑 크뤼(Alsace Grand Cru AOC)의 모든 것 알자스 그랑 크뤼(Alsace Grand Cru AOC)알자스 그랑 크뤼(Alsace Grand Cru AOC)는 프랑스 알자스 와인 지역의 특정 구획에서 생산된 와인에 대한 '원산지 통제 명칭(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이하 AOC)'이다. 알자스 지역의 그랑 크뤼 AOC는 1975년 INAO(프랑스 국립원산지명칭관리국)에 의해 인정되었으며 이후 1983년, 1992년, 2007년에 그 지역이 확대되었다. 그랑 크뤼 등급을 받으려면 먼저 알자스 AOC 규정과 기타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해발 200m에서 300m 사이의 알자스 AOC 지역에서 선별된 포도밭에서 와인을 생산해야 한다. 예를 들어 포도밭의 수확량은 1헥타르 당 5500리터 이하여야 하고, 와인은 그랑..
알자스 화이트 와인의 여왕, 리즐링(Riesling) 리즐링 품종의 역사리즐링(Riesling)은 중세 독일에서 기원한 포도 품종으로, 그 역사는 수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다. 리즐링의 정확한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인들에 의해 독일 지역으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 기록상 ‘리즐링’이라는 단어는 1435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Francfort-sur-le-Main)에서 처음 언급된 기록을 찾을 수 있다.리슬링은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라인-헤세(Rheinhessen)와 팔츠(Pfalz) 지방으로 퍼져나갔으며 17세기와 18세기에는 독일의 모든 와인 생산 주에서 권장되었다. 프랑스 알자스에서 리슬링을 재배하기 시작한 시기는 15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19세기에 이르러서야 그 품질을 인정받았고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마침..
Cattin Pinot Blanc Naturalité 2018 Cattin Pinot Blanc 'Naturalité' (bio) (2018)​나뛰랄리떼(Naturalite)는 '자연그대로'라는 뜻의 프랑스어로서, 조셉 까땅(Joseph Cattin) 와이너리가 추구하는 유기농 철학을 잘 표현하는 이름이다. 피노 블랑(Pinot Blanc)은 피노 계열의 한 품종으로서 프랑스에서는 알자스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프랑스 외에도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도 재배되지만 재배되는 나라에따라 조금씩 스타일도 다르면서 각각의 개성을 담을 수 있어 다재다능한 품종으로 평가받는다. 까땅(CATTIN)의 피노 블랑은 향긋한 꽃내음과 함께 백도의 향이 풍성하게 느낄 수 있어 무겁지는 않지만 풍성한 아로마로 즐겁게 마실 수 있는 와인이다. 신선한 산미가 입안에서 과하지..
게뷔르츠트라미너(Gewurztraminer) 대한 모든 것 게뷔르츠트라미너(Gewurztraminer)는 알자스 와인을 대표하는 품종 가운데 하나로, 프랑스의 알자스 지방을 비롯하여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이 와인은 비교적 당도가 높고, 알코올 함량이 높아 대체로 강한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알자스 지역에서 만들어진 게뷔르츠트라미너 와인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와인의 맛과 향, 색상 등이 포도의 품종, 수확 시기, 날씨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게뷔르츠트라미너(Gewürztraminer)게뷔르츠트라미너는 리슬링(Riesling)과 함께 독일 및 프랑스 알자스 와인을 대표하는 품종으로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데 쓰인다. 아메리카 대륙 쪽에서도 점차 재배하는 곳이 많아져서 미국, 캐나..
프랑스의 와인 등급 체계 와인하면 프랑스지!  와인에 전혀 문외한이라도 이런 공식을 떠올리게 된다. 사실 와인의 최대 생산국은 이탈리아이지만 프랑스를 떠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는 프랑스가 최대의 와인 소비국 이라는 사실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프랑스 국민만큼 와인을 항상 가까이 하는 이들은 드물다. 그들에게 있어서 와인은 생활 그 자체이자 물보다 더 친숙한 음료이다. 강요하지 않아도 와인에 대한 지식은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둘째는 프랑스인들이 자국 와인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명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에 있다.프랑스만큼 정부차원에서 원산지 통제와 품질을 결정하는 곳도 드믈다. 그 결과 오랜 역사와 전통, 세계 최고의 품질을 지닌 와인을 생산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그 명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랑스의..
알자스의 오렌지 와인 추천 - 2023년 알자스 지역은 전통적인 와인 제조 과정과 친환경 농업으로 유명한 곳으로, 최근 오렌지 와인도 주목받고 있다. 오렌지 와인은 백포도 품종을 껍질째 발효시켜 독특한 풍미와 깊은 색감을 자랑하는 네츄럴 와인이다. 알자스의 오렌지 와인은 이 지역의 다양한 포도 품종과 전통적인 양조 기법을 결합하여 탄생한 결과물로, 그 맛과 향이 독특하고 복합적이다.알자스 와인 메이커들은 전통을 지키면서도 혁신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Stéphane Bannwarth는 조지아 전통의 도자기 항아리를 사용해 오렌지 와인을 양조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포도 껍질과 씨앗이 와인에 더 오랜 시간 접촉하게 하여 풍부한 타닌과 독특한 색을 부여한다. 이처럼 전통과 현대 기술을 융합한 제조 과정은 알자스 오렌지 와인의 매력..
알자스 최초 무알콜 와인 RIBO 무알콜 음료는 알코올이 제거된 음료로 이 음료 시장은 최근 몇 년 간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와 함께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무알콜 맥주, 와인, 칵테일 등도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무알콜 음료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2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는 첫 번째 알자스 와인이 등장했다.    무알콜 와인무알콜 와인은 포도주에서 알코올을 제거한 음료다. 일반 와인과 마찬가지로 포도나 다른 과일에서 추출한 즙을 발효시켜 만들지만, 완성된 와인에서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알자스의 새로운 피노 누아(Pinot noir) 그랑 크뤼(Grand Cru) 최근 알자스에서 새로운 소식이 들려왔다. 영국의 주류전문 매체 디캔터(Decanter)에 따르면 2022년 빈티지부터 51개 그랑 크뤼(Grand Cru) 지역 중 두 개 지역은 기존에 허용된 화이트 와인에 더해 피노 누아(Pinot noir)에도 그랑 크뤼 등급을 표기할 수 있게 되었다. 바로 Kirchberg de Barr와 Hengst이다.     사실 이러한 논의는 2000년부터 시작됐으나 2016년에야 신청이 접수되었고, 2019년 비로소 '프랑스 국립원산지명칭관리국(INAO: Institut national de l'origine et de la qualité)'에서 심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3년이 더 지난 2022년 마침내 두 곳이 선정된 것이다. 이는 알자스가 그랑 크뤼 등급을 제정한 1..
화이트 와인 이해하기 - 마세라시옹(Maceration) 마세라시옹(Maceration)은 와인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 포도의 껍질, 씨, 그리고 때로는 포도송이까지 함께 발효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포도의 색소, 타닌, 향미 성분이 와인으로 추출되어 독특한 맛과 향을 형성하게 된다. 마세라시옹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수확과 분쇄포도를 수확한 후, 포도를 가볍게 분쇄하여 껍질이 터지게 하고, 이 과정에서 포도즙이 나오게 한다. 2. 발효와 접촉이 분쇄된 포도와 포도즙을 함께 발효 탱크에 넣어 발효를 시작한다. 이때 포도의 껍질, 씨, 포도송이 등 고형 물질들이 포도즙과 함께 발효되며, 이 과정에서 색소와 타닌이 추출된다. 3. 마세라시옹 기간마세라시옹은 며칠에서 몇 주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이 기간 동..
프랑스 최고의 와인 매거진(RVF, Revue du vin de France) 최고의 와인 가이드(RVF, Revue du vin de France)프랑스에는 매년 수 많은 와인가이드 매거진이 출판된다. 그 가운데 Revue du vin de France(RFV)는 프랑스 와인 애호가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매우 중요한 참고 자료로 자리 잡았다. 이 매거진의 역사는 깊고, 그 영향력은 현재도 상당하다.    프랑스 최고 와인 가이드(GMV, 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  이 프랑스 최고 와인 가이드(GMV, Guide des meilleurs vins de France)는 프랑스의 대표 와인 매거진 Revue du Vin de France (RVF)에서 매년 발행하는 가이드로, 1990년대 초에 처음 출판되었다. 이 가이드는 프랑스의 와인 전문가들이..
오렌지 와인(vin orange)이란? 오렌지 와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오렌지 와인은 단순히 마세라시옹(Maceration) 과정을 거친 화이트 와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이트 포도를 껍질과 함께 발효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때로는 포도송이까지 함께 발효시킨다. 오렌지 와인의 색깔은 바로 이 껍질의 마세라시옹에서 나온다. 레드 와인 포도와 마찬가지로, 화이트 와인의 포도 껍질에도 타닌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타닌이 있는 화이트 와인인 오렌지 와인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와인들은 대체로 소화가 더 잘되며 알코올 느낌이 덜하다. 때문에 오렌지 와인의 구성에는 신선함이 두드러지며, 흥미롭게도 산도가 꽤 낮다. 오늘날 오렌지 와인은 누가 만드나?이 오렌지 내추럴 와인 제작 방식은 고대에서 유래되었다. 이 전통은 코카서스 지역에서 시작되어 처..
알자스 와인에 대한 모든 것 프랑스와 독일의 경계를 어디로 해야 할까에 대해 자연이 제시해 주는 대답은 두 가지다. 하나는 라인강(Rhein, 프랑스어로는 Rhin), 또 하나는 그보다 약간 서쪽에 있지만 역시 남북으로 뻗어 있는 보주(Vosges) 산맥이다. 알자스(Alsace)는 바로 이 남북으로 길게 뻗은 두 자연 경계의 사이에 놓인 지방으로 서쪽엔 보주 산맥, 동쪽으로는 라인강(Rhein)을 지역 경계로 두고 있다. 특히 라인강의 존재는 경계선이 되기도 했지만 동시에 배로 물자를 운반하기 좋기 때문에 오히려 상업이 발달하는 조건이 된다. 알자스 지방 역시 라인강 건너에 있는 독일의 와인 생산지들과 함께 라인강을 통해 와인을 운반했고, 목표로 하는 시장도 같았다. 여담이지만 지금도 이 동네 와인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